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하버드 자산관리 전문가들이 말하는 10가지 투자 법칙

투자 & 재테크의 기초

by 쑥쭉이 2022. 6. 24. 11:13

본문

글 제목덕에 사람들이 하버드라고 생각할 것 같은 사진을 골라 올린 스탠포드 대학교 전경

주식은 수익률이 높은 만큼 리스크도 크기에 모든 사람이 다룰 수 있는 도구는 아니다.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자본주의 시장에 펼쳐진 다양한 도구들 중 자신에게 맞는 도구를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게 맞는 투자를 하기 위해 하버드 자산관리 전문가들이 정리한 10가지 투자 법칙을 소개한다. 

 

 

 

greedy한 이미지를 찾다가 발견한 사진인데 킹핀같아서 좋다

 

1. 매수와 공매로 돈을 벌 수 있다. 다만 욕심으로 인한 파산을 조심할 것


투자에 있어 목표 수익률 혹은 액수를 정해 둔 다음 해당 가격대에 도달했다면 즉시 판다. 실현한 수익만이 수익이며, 돈이 주머니에 들어와야 안전하다. 그 이상의 이윤에 대해 더 욕심을 내다보면 이성이 욕심에게 주도권을 내어주고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어울리는 사진 찾기는 정말 어렵다! 그것도 저작권 프리 사진으로!!

 

2.  순가치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최적기를 찾아 단계적으로 진입하라

 

어떤 투자상품을 구매하고 싶다면 한 번에 전부 매일하기보다 자금을 나눠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다. 시장가격이 순가치를 넘으면 조금 더 구매하고, 반대로 평균가격이 떨어져 덜 사게 되면 보다 안전해진다.

 

 

 

 

 

나름 이미지 검색에 선방했다고 생각

 

3. 떨어지는 것은 사고 오르는 것은 사지 마라

 

오랫동안 관찰해 잠시 떨어지는 투자항목을 알아두었다가 오르기 전에 사들인다. 또는 가격이 저평가된 투자대상을 찾는다

 

 

 

 

 

헤헤헤 바구니 여러개인 사진 찾기 성공 헤헤헤헤

 

4. 모든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 것

 

단일 주식, 단일 업계, 단일 종목에 투자하고 있다면 리스크가 발생했을 때 직격탄을 맞을 수 밖에 없다. 수익을 유지하면서 자본을 위협받지 않는 최선의 방법은 '분산투자'다. 

 

 

 

 

 

 

이쯤되면 내가 산 회사가 뭘하는 회산지도 모르게될지 모른다고 확실하게 말하는건 또 모르는 일일지도 모르는 건지도 몰라

 

5. 씹지도 못할 만큼 많은 양을 입에 넣지 마라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란다고 한 바구니에 계란을 하나씩 담을 수는 없는 노릇이며, 바구니가 너무 많은 것도 좋지 않다. 주식거래를 하는 사람 중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투자한 주식의 코드도 모른다. 이러한데 그 종목의 상세 정보를 알리가 있나. 다양한 도구로 리스크헷징을 해야하지만 너무 다양화하게 되면 자신이 관리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게 된다.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영역 안에서 투자할 수 있도록 지나친 다양화는 삼가야 한다

 

 

 

PER, PBR, ROE, PSR, PRR 분석할 게 많아용~

 

6. 매입하고 나서도 꾸준히 연구하라

 

내가 회사의 오너라면, 내 회사가 잘 굴러가고 있는지 당연히 파악해야하는 것 처럼 투자자는 매주 일정한 시간과 노력을 들여 연구보고서를 읽고 업계의 지표를 파악해야한다. 매입하고 마냥 기도메타로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이로써 정기적으로 투자상품을 계속 보유하는 것이 좋은지 검사하고 연구해야한다.

 

 

 

 

 

 

장수 우량주는 별이 다섯개~~!

 

7. 투자 성적이 우수한 주식은 영원히 가치가 있다

 

투자자들은 항상 할인가에 대형주를 사고 싶어한다. 하지만 그런 주들은 수익률이 좋아질 기미가 희미하다. 전문가는 우량주식을 산다. 투자성적이 우수한 주식이 일반적으로 월득한 수익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이 점을 명심하고 일확천금을 꿈꾸며 휴지 주식에 투자하는 것을 멈춰야 한다.

 

 

 

 

5.. 4.. 3.. 2.. 1... launch!!

 

8. 현금을 쥐고 시장을 바라보며 Launch 버튼을 누를 준비를 하자

 

격변기가 아닌 이상 시장이 횡방향 흐름을 보일 때는 움직임이 미미한데, 주식시장이 하락세일 때 현금을 쥐고 있는 것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선택이다. 주가가 반등하는 시점에서 주식을 팔아 현금을 쥐고, 시장을 관망하다가 눈여겨봤던 주식들이 떨어질 때 다시 매입하면 좋다. 

 

 

 

 

응~ 조정이야~

 

9. 시장이 조정되는 시기가 곧 시장 진입의 적기다

 

시장은 때로 기존과는 다른 폭의 변동을 나타낸다. 어떤이는 변화를 마주할 용기가 나지 않아 투자를 꺼리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된 선택이다. 주기성이 있는 시장의 조정은 건강하고 정상적이다. 일단 조정이 발생하면 이 시기를 자세히 연구하고 분석했다는 가정 하에서 순가치를 돌파한 우량주를 매입하는 기회로 삼아야한다.

 

 

 

 

 

융통성은 영어로 flexibility

 

10. 투자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융통성을 유지하라

 

시장에는 언제나 파동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안전을 위해 주식이나 펀드는 장기보유해야만 돈을 버는 거라고 믿는다. 그러나 관련 정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수중에 보유한 투자 종목이 돈을 벌 수 없고, 나아가 손해까지 입을 수 있다는 것을 안다면 절대 주저치 말고 매도로 돌아서라. 반대로 업계상황이 좋고 지수상으로 상승세가 확실하다면 적극적으로 주식을 쓸어 담아라. (상승 후에 쓸어담지 말고) 경제추세는 매분매초 변화하기에 투자상품에 대한 생각도 이에 맞춰 바뀌어야 한다.

'투자 & 재테크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의 기초  (0) 2022.06.29
내게 맞는 투자 도구, 투자 상품 찾기  (0) 2022.06.27
재테크의 기본  (2) 2022.06.23
외환투자로 돈을 벌자  (0) 2022.06.22
절세 금융 상품 - 2  (0) 2022.06.18

관련글 더보기